문학산책, 명작시·애호시 모음

생명파 시인 유치환

Smart Lee 2007. 12. 8. 11:34

     행 복 

                                                                                       유치환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에메랄드빛 하늘이 환히 내다뵈는 
                                                 우체국 창문 앞에 와서 너에게 편지를 쓴다.

                                                       행길을 향한 문으로 숱한 사람들이
                                                  제각기 한 가지씩 생각에 족한 얼굴로 와선
                                                        총총히 우표를 사고 전보지를 받고 
                                                        먼 고향으로 또는 그리운 사람께로
                                                  슬프고 즐겁고 다정한 사연들을 보내나니.

                                                 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에 시달리고 나부끼어 
                                                         더욱더 의지 삼고 피어 헝클어진 
                                                                   인정의 꽃밭에서 
                                                              너와 나의 애틋한 연분도
                                               한 방울 연련한 진홍빛 양귀비꽃인지도 모른다.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

                                                            -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사랑하였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

                                                                           바위 
                                                                                          - 유치환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

                                                           아예 애련(愛憐)에 물들지 않고
                                                             희로(喜怒)에 움직이지 않고
                                                               비와 바람에 깎이는 대로
 
                                                      억 년(億年) 비정(非情)의 함묵(緘默)에
                                                              안으로 안으로만 채찍질하여
                                                             드디어 생명도 망각(忘却)하고

                                                                        흐르는 구름
                                                                      머언 원뢰(遠雷).
                                                                 꿈 꾸어도 노래하지 않고,

                                                                   두 쪽으로 깨뜨려져도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리라.

                                                                        생명의 서(書)

                                  -                                                     유치환
 
                                                         나의 지식이 독한 회의를 구하지 못하고
                                                          내 또한 삶의 애증을 다 짐지지 못하여

                                                             병든 나무처럼 생명이 부대낄 때
                                                       저 머나먼 아라비아의 사막으로 나는 가자


                                                  거기는 한번 뜬 백일(白日)이 불사신같이 작열하고
                                                     일체가 모래 속에 사멸한 영겁의 허적(虛寂)에

                                                                     오직 아라―의 신만이
                                                       밤마다 고민하고 방황하는 열사(熱沙)의 끝

                                                                     그 열렬한 고독 가운데
                                                               옷자락을 나부끼고 호을로 서면

                                                           운명처럼 반드시 `나'와 대면케 될지니
                                                                   하여 `나'란 나의 생명이란

                                                      그 원시의 본연한 자태를 다시 배우지 못하거든
                                             차라리 나는 어느 회한에 회한(悔恨) 없는 백골을 쪼이리라

                              ----------------------------------------------------------------------
                                           유치환(柳致環, 1908-1967, 청마 靑馬)

                                                                  1908년 경남 충무시 출생
                                                             1927년 연희 전문학교 문과 입학
                                                  1931년 시 '정적'을 '문예월간'에 발표하면서 등단
                                                                1937년 문예 동인지 '생리' 발행
                                                              1946년 청년 문학가 협회 회장 역임
                                                        1947년 제1회 청년 문학가 협회 시인상 수상
                                                               1957년 한국 시인 협회 초대 회장
                                                                             1967년 사망

그는 몇 편의 수필과 소설을 남겼지만 그는 시인으로 유명하다. 160편 이상의 시와 10권의 시집을 펴냈다. 그의 고향 항구 도시 충무가 그의 시작에 많은 영향을 준 것은 명백하다. 그의 시에 나오는 주제는 대개 자연인데 특히 바다가 많이 나온다. 그는 자연의 모든 면을 다루었다.  꽃, 동물, 바위와 대개의 경우 자연의 일부로써의 인간, 자연을 통하여 삶의 충만함과 무상이라는 이중적 테마를 강조하였다. 그의 시에 나오는 무상인간이 삶을 통하여 극복해야만 하는 긍정적인 무상것이다.

1960년대에 부산에 정착, 부산고, 경남여고 등지에서 교사, 교장으로 근무하였다.       - 시집으로는 <청마시초>(1939),<청령일기>(1949),<보병과 더불어>(1951),<청마시집>(1954), <제 9시집>(1957) 등 다수가 있으며 우리 시단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제작해 낸 시인으로 손꼽혔다.

- 사람의 삶 어디에나 있는 뉘우침, 외로움, 두려움, 번민 등의 일체로부터 벗어난 어떤 절대적인 경지를 갈구했으며, 그 해결의 길은 일체의 생명적인 것에 대한 허무주의적 자각에서 찾았다.

- 곧, 강렬한 허무적 의지는 그 밑바닥에 생명의 뜨거운 꿈틀거림과 감정의 소용돌이를 간직한 것 때문이다.

- 종종 그의 작품에서 공허함이 발견된다. 일제시대(1910~1945)에 쓰여진 초기 작품은 당연히 조국에 대한 일본의 압제와 관련되어 있다. 이상과 현실 사이의 거리감에 의하여 인간이 겪는 고뇌를 이러한 시를 통하여 표현하였다.

- 자연사물에 대한 의인화는 외로운 존재인 자연을 통하여 반영되는 자신의 허무함을 표현한다. 삶의 시련을 극복하려는 그의 결심은 감정의 표현이 없는 이상적인 정적, 정지, 인내에 의해서 표현된다. 허무함을 듬뿍 안고 있는 그의 시는 가끔은 비참하고 냉소적이다. 이상과 현실 사이의 모순을 숨김없이 묘사하기에 그의 시는 가슴에 와 닿는다. 그의 시는 삶의 진실과 공존하는 비참한 인생을 폭로한다.

- 그의 시는 삶의 참여와 강조, 삶을 짓누르는 것에 대한, 삶의 자연적인 과정에 대한 자신의 존재로 특징지어진다. 그는 초기에는 낭만적, 상징적 경향을 보이다가 후기에는 인간의 생 자체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서정주와 더불어 생명파 시인으로 불리운다. 삶에 대한 위대한 연민에도 불구하고 그는 가끔 상대하기 어려운 일상의 사회적 상황을 발견한다.

 

- 그는 시에서 양식이나 기교보다 이상과 주제에 더 중점을 두었다. 직접적이고 정교함이 그의 매력이다. 그의 자유시는 산문체이며, 직유와 은유를 많이 사용한다. 그의 삶을 강하게 그리기 위하여 그는 가끔 파도처럼 출렁거리는 이미지를 가끔 시용한다. 때때로 그의 시는 이상을 초월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러한 이상은 주제와 이상의 일관성 (원천적인 삶의 이중성에 기인하는 삶의 충만과 강조) 을 강화시켜 준다.

 

- 그의 시에 나타나는 고독감, 쓸쓸함은 부정적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약속과 희망을 머금은 긍정적인 것이다.

   

'문학산책, 명작시·애호시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의 시인 용혜원  (0) 2007.12.10
그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존재  (0) 2007.12.08
다시 읽고 싶은 시 '꽃'  (0) 2007.12.04
가을의 기도  (0) 2007.11.26
가을이 가네  (0) 2007.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