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경제·국내외 주요행사

깐깐해진 중국시장…한국기업들 ‘수난시대’

Smart Lee 2011. 6. 14. 23:22

                                 깐깐해진 중국시장…한국기업들 ‘수난시대’

 

독자브랜드 요구·지분 제한·노무감독 강화 등
자국기업 보호정책 본격화…"대안 마련해야"

 

한국의 타이어업체들이 최근 중국에서 연달아 '된서리'를 맞았다. 한국타이어는 중대형 트럭과 버스용으로 중국에서 팔린 타이어 제품 246개에 대해 지난 11일 '교환' 조처를 내렸다. 중국 국가질량감독총국이 해당 제품에서 바람이 새는 등의 결함이 발견됐다며 안전성 우려를 제기한 탓이다. 지난 3월엔 금호타이어가 중국 텔레비전방송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을 통해 '공장 작업매뉴얼의 재생고무 사용비율을 어겼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결국 금호타이어는 제품 30만개를 리콜 조처했다.

최근 외자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기류가 심상치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14일 타이어업계 관계자는 "자국기업 보호 차원에서 중국 정부가 한국 타이어업체들한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며 "중국 정부 눈치를 보느라 억울함을 호소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한국타이어와 금호타이어는 각각 시장점유율 20%대로, 중국 내 1~2위를 다투고 있다.

현대·기아자동차도 요즘 고민에 빠졌다. 중국 정부가 외국 자동차업체한테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과 '자주(독자) 브랜드' 출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형 쏘나타와 같은 개조차가 아니라 온전히 중국에서만 개발·생산하는 모델을 내놓으라는 요구다. 중국 정부는 앞으로 5년간 자주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을 5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폴크스바겐, 지엠, 도요타, 닛산 등 대부분 자동차업체들은 이미 자주 브랜드로 소형차 모델을 출시했거나 출시를 검토중이다.

더구나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이달 말 전기차 등 신에너지 자동차 부품기업의 외국자본 비율을 50% 이하로 제한하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외국 업체들에 뒤쳐지는 자국 기업을 보호할 목적이다. 외국 업체들 입장에선 지분율과 이익이 줄어드는 것을 '울며 겨자먹기'로 감수해야 한다. 베이징모비스(100% 지분율)를 비롯해 중국에 8개 법인을 갖고 있는 현대모비스도 친환경차 부품 생산을 시작하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현대차 중국사업본부 고위관계자는 "앞으로 중국에서 자동차 공장을 새로 짓거나 프로젝트를 시작하려면, 친환경차를 생산하거나 자주 브랜드를 갖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전자와 엘지(LG)디스플레이는 중국 정부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공장 투자 승인을 1년 넘게 내주지 않아 마음 고생을 톡톡히 한 바 있다.

외자 기업에 대한 세무조사나 노사관계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한편 기술이전이나 연구개발(R & D) 투자를 노골적으로 요구하는 것도 중국 정부의 달라진 모습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4월 '글로벌 기술연구센터'를 설립할 지역으로 중국 상하이를 선택했다. 건설장비나 엔진 개발뿐 아니라 해상풍력 등 회사의 미래 전략상품 개발도 중국에서 하겠다는 것이다. 도요타가 올봄 중국 내 자동차 합자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독자출자한 연구개발센터를 가동하기 시작한 것도 중국 정부를 의식한 결정이었다.

박한진 코트라(KOTRA) 베이징 코리아비즈니스센터 부장은 "중국의 외자기업 정책은 외국자본을 선별적으로 허용하겠다는 쪽으로 이미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넌 느낌"이라며 "무조건 '한국기업 때리기'로만 볼 게 아니라 중국 정부 정책과 내수시장의 변화를 제대로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2011-06-14 한겨레 황예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