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 이순신의 큰 마음을 기리며 충무공 이순신의 큰 마음을 기리며 1592년 8월 14일은 한산대첩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전라우수사 이억기, 경상우수사 원균 등과 함께 승전고를 울린 날입니다. 이순신은 견내량의 일본 해군 70척을 한산도 앞바다로 유인해서 그 유명한 학익진(鶴翼陣)으로 무찔렀습니다. 한산대첩은 왜군이 남해를 ..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9.08.18
감성리더십 감성리더십 혼자 일하는 사람은 묵묵히 주어진 일만 하면 된다. 다른 능력은 필요 없다. 리더는 다르다. 리더는 혼자 일하는 사람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주어진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게끔 만드는 사람이다. 최악의 리더십은 위협을 통한 것이다. 이 일을 하지 않으면 월급을 받을 수 없고..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9.07.12
드라마로 배우는 리더쉽 II - '선덕여왕' --------------------------------------------- 2009년 5월 25일 첫 회 방송 시청률 16%(TNS 미디어코리아), 3회째에 20%, 6회째에 25.2%, 6월 중순 현재 8회째에는 30%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는 드라마가 있다. 선덕여왕이 바로 그것이다. 신라의 화랑 및 신라 귀족층의 사생활을 매우 자세하게 기록한 김대문의 필사본 <..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9.07.08
리더와 리더쉽 리더와 리더쉽 세상에는 많고 많은 리더들이 있다. 가정, 직장, 교회, 정부, 국회, 정당 등등에 숱한 리더들이 있다. 그러나 그 많은 리더들 중에 진정한 리더쉽을 갖춘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면 어떤 리더를 일컬어 진정한 리더쉽을 갖춘 리더라고 할까? 리더쉽의 정의만 하여도 200여 가..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8.12.27
지도자 10계명 지도자 10계명 나폴레옹 힐(Napoleon Hill)은 소위 성공학(成功學) 분야에 있어서 대가 중의 대가이다. 한 때는 좌절에 빠져 있었던 사람들이 그의 저서를 읽고 심기일전(心機一轉)하여 새로운 다짐으로 재도전하여 성공에 이른 성공사례가 허다하다. 그가 지도자로서 성공에 도달하기위해 갖추어야 할 열 ..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8.12.15
손자병법에서의 리더십 손자병법에서의 리더십 ▷ 孫子曰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손자병법 제일 첫머리에 나오는 어귀이다. 원정을 결심함에 적의 능력과 나의 능력을 정확히 비교 검토하지 않고 충동적으로 개전결의를 하여 무모히 원정길에 뛰어드는 것을 경계 ▷ 經之以五事 敎之以計 而索其情 一..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8.08.28
MB 리더십코드 처칠·대처 모델로 MB 리더십코드 처칠·대처 모델로 이명박 대통령이 20일 청와대 출입기자들에게 책을 한 권씩 선물했다.‘우리는 결코 실패하지 않는다-돌파의 CEO 윈스턴 처칠’(실리아 샌디스·조너선 리트먼 공저)이다. 지난 달 말 휴가를 떠나면서 청와대 직원들에게 나눠 준 책이기도 하다. 큰 제목..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8.08.21
역사 속 영웅 리더십 - 불멸의 영웅 ‘이순신’ 역사 속 영웅 리더십 - 불멸의 영웅 ‘이순신’ ::: 불멸의 리더십, 후세의 가슴을 울린다 국란을 맞아 단 12척의 배로 세계 해전사를 바꿀 위업을 이룬 이순신. 넬슨이나 도고를 능가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이순신의 리더십이야말로 치열한 경제전쟁의 한복판에 서 있는 CEO들이 배워야 할 금과옥조의 교..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8.08.14
뉴스위크지 "아시아서 실용주의 바람 확산" 뉴스위크지 "아시아서 실용주의 바람 확산" 韓-말聯-대만 실용주의자를 지도자로 선출 고도성장을 구가하던 과거에 대한 향수병인가. 아시아 국가들이 선거를 통해 국가 지도자로 실용주의자를 선택하고 있다고 미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4월7일자 최신호에서 보도했다. 과거 빠른 경제성장을 이뤘던..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8.03.31
지도자의 3 가지 유형 지도자의 3 가지 유형 미국의 정치학자 리즈만(David Riesman 1909~2002) 교수는 지도자가 지녀야 할 퍼스넬리티의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는 전통지향형(The tradition-directed), 둘째는 타인지향형(The other-directed), 셋째는 내부지향형(The inner-directed)이다. 첫 번째의 전통지향형은 기존 체재, 기존 질서.. 리더와 리더쉽에 대한 연구 2008.03.29